그린 인플레이션
원자재 : 러시아, 남미, 중동, 아프리카 등 정치적으로 불안정하여 수급 어려움(이제 사우디 하나 협박한다고 될 일이 아님)
정제, 가공 : 중국(그냥 대화가 안통함)

원자재를 구하는 것도 어렵고 정제, 가공하는것도 어려운데 설비 만들어서 전기를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도 문제
에너지 부족 사례 : 캘리포니아(태양광), 텍사스(풍력), 영국(풍력), 브라질(수력)
재생에너지 수급불균형 문제로 인한 사례는 셀 수도 없이 많음 앞으로 보완이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임
원인에 대한 갑론을박이 많은데 분명한 것은 재생에너지의 수급이 불균형하다는 것
전기 저장소 확충하고 더 어려운 상황에서도 전기를 원활하게 공급 할 수 있도록 설비를 재정비 해야겠지만 그것 또한 비용

결론적으로 이런 방식 하에서 인플레이션은 구조적이라 막을 수가 없음
모든 부문에서 돈이 더 필요함
(이건 환경 부문에서만 얘기고 현재 기축통화의 가치 하락, 항로 길어져서 물류비 상승, 자본비용 상승 까지 생각하면 그냥 노답)

유럽의 사례
재생에너지 수급문제-> 석유, 석탄, 천연가스 상승-> 전쟁 -> 원전 얘기 다시나옴(프랑스를 필두로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 루마니아, 불가리아)

에너지 자립을 얘기하면서 원전얘기도 나오는데 원전 자체가 미래 에너지라고 하기에는 또 이상함
애초에 EU 택소노미에서도 원전의 기준은 너무 높음(프랑스와 독일의 힘겨루기가 한창인듯)


이러나 저러나 현재 유럽에서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재생에너지 정책은 뭔가 이상함
이렇게 힘들줄 몰랐나? 진작에 하지 왜 이렇게 급하게 드라이브를 걸어서 제 살을 깍아먹지

일단 전제부터 살펴보자

지구온난화는 사기일까?
말이 많은데 완전 사기는 아닌거 같음.
지구가 따듯해져서 빙하 녹으면 땅이 가라앉는건 팩트 아닌가

일단 지구온난화를 막기는 해야하는데 그럼 왜 이렇게 급하게 해서 문제를 만들지?

중국을 때린다? 정제, 가공을 중국을 하는데 설득력이 떨어짐

원자재 국가를 때린다? 유럽(독일)-러시아 천연가스 힘겨루기를 봤을 때 피를 흘렸던건 유럽


그러면 도대체 이게 뭐하는 짓인지?
서방정부 뒤에서 돈을 대는 국제금융가들의 입장에서는 어떨까
국제금융가들은 혼란을 원함
이게 직관적이지 않을 수가 있는데 2차 대전 때 미국과 독일의 중앙은행에 각각 와버그 형제가 있었음
그 때 스위스는 중립을 유지했는데 벨기에, 룩셈부르크, 덴마크, 노르웨이는 모두 독일에 먹힘
스위스가 중립 기술이 너무 뛰어나서? 아닌거 같음
당시 스위스에는 국제청산은행이 있었음

즉, 국제금융가들은 전쟁 한복판에서도 심지어 패전국에서도 뒤에서 돈을 번다는 말임

환경게임에서는 어떨까
모든 것의 인플레이션 = 더 많은 정부 지출 = 정부의 더 많은 채무(서방 중앙은행은 국가에 돈을 빌려주는 식임)
=더 강한 통제

중앙은행에서 정부에 돈을 빌려주고 나서 끝나는 것도 아님
정부의 돈이 시장에 풀리고 시장의 돈이 다시 시중은행으로 들어가는데 그 은행들도 대부분(다는 아님) 금융가들의 것
예금 들어온 돈을 다시 낮은 지급준비율을 이용해서 다시 화폐를 창조 = 더 많은 돈 = 더 많은 이자 = 더 더 강한 통제

그러면 정부는 도대체 왜 이 짓을 하는거지 중앙은행이 뒤에서 시키면 하는 정도로 정부는 허수아비 인가?
신흥국이 성장이 두드러지는 가운데 새로운 먹거리가 필요한데 유럽은 슈퍼그리드라는 전기 공유 시스템으로 묶여있기에
재생에너지 전기 사회로 넘어갔을 때 수급불균형 해결의 선두 모델로 꼽힐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을 노리고 재생에너지 드라이블 건거 같음

즉,
국제금융가들은 원래 하던대로 더 많은 돈
유럽의 지도자들은 국민들의 미래먹거리(본인들의 득표)에 대한 이득

이 두개가 합쳐져서 지금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지 않을까 함

+ Recent posts